본문 바로가기

주말

[맥락을 팔아라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는 시대의 마케팅)]

맥락을 팔아라(미래의 창) 


이 책을 들었을 때 가장 궁금한 키워드는 "맥락"이었다. 맥락이 과연 무슨 뜻일까? 

평소에 자주는 아니지만, 사용했던 단어 같은데, 그 의미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이 우선으로 들었다


그래서 우선 사전적인 의미 부터 찾아 보았다. 


[네이버 어학 사전 검색 결과] (출처 : 네이버 어학사전)

 

맥락 (脈絡) [맹낙] 

[명사] 
1. <의학> 혈관이 서로 연락되어 있는 계통. 
2.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유의어] 계통1, 문맥, 1


맥락이란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이라고 정의 되었는데, 

유추해보면 이 책에 내용은 어떤 사물, 서비스 등이 서로 이어져 있어서 발생하는 사례 아니면 그에 따른 예측 등을 제공하는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과 함께 읽기 시작했다. 


또한 이 책의 부제(? , 책 표지에 붙어 있는 글귀)가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은 시대의 마케팅" 이라는 제목으로 표시되어 있었기에

현재 시대를 정의하고 해당 마케팅 사례 이야기를 제공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책에서는 역시 최초 의문을 가지게 한 "맥락"이라는 의미부터 정의하고 시작한다. 


맥락은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영어로는 컨텍스트(Context). 함께를 뜻하는 'Con'과 천이나 작무을 짜다라는 뜻의 "texture"가 합쳐진 단어

... (중략) 수십년 동안 브랜드의 고유한 맥락에 있다는 결론을 가지게 되었다.  (출처 : 책 서론 부분의 일부) 


서론 부분에 정의 되었듯이 이 책은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 사례를 함께 소개하고 있고, 

현재 시대의 키워드(Z세대, 1인 가구 등)에 맞춘 서비스들을 안내하고 독자가 사례들을 통해서 새로운 생각들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책인 것 같다. 



최근 시대에 맞튼 트렌드나 다양한 기업의 사례들을 함께 보면서 "맥락"을 맞춰 보는 생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맥락을 파악하고,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는 능력을 키워 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과 함께

어떻게 하면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울수 있을까 하는 더 깊은 생각을 하게 된다. 




[책 목차]


1. 왜 지금 맥락|Context|인가 

‘무엇을’ 보다 ‘왜’, ‘어떻게’가 더 중요한 시대 
고객의 맥락과 브랜드의 맥락을 만나게 하라 
당신의 브랜드는 어떤 제안을 담고 있는가? 

2. 단단한 맥락은 자기다움에서 시작된다 
브랜드의 오리진에 맥락의 단서가 있다 
다름은 표현하고 나음은 증명하라 
고객만큼 직원도 소중하다 
CEO 스스로 변화의 아이콘이 되어라 
먹고 마시는 삶의 맥락을 제안하라 

3. 맥락을 수용하는 집단을 해석하라 
삶을 해독하고 브랜드를 코딩하라 
미디어 오디언스 텔링의 문법이 달라진다 
팬덤, 가장 강력한 집단이 온다 
다른 맥락을 사는 세대 Z세대를 주목하라  -> 최근 시대에 대한 이야기
세상을 바꾸는 1인을 이해하라  -> 최근 시대에 대한 이야기
고객의 니즈를 발견하고 경험을 혁신하라 


4. 맥락이 전개되는 접점을 이해하라 
브랜드 경험을 기획하고 실행하라 
온라인 시대의 오프라인 
특별한 관점을 투영하는 접점을 제안하라 
고객과의 핫라인을 구축하라 
시간의 퀄리티를 팔아라 
유통의 맥락은 고객의 삶으로 귀결된다 

5. 맥락은 확산을 위한 설계다 
오직 연결만이 가치를 만든다 
혼자만의 공간으로 침투하라 
도달보다 확산의 미디언스가 중요하다 
콘텐츠와 미디어 사이의 저널리즘 
공감의 코드를 제공하라 
공급자의 문법을 파괴하라 

6. 맥락을 완성하는 것은 브랜드의 매력이다 
새로운 기술보다 익숙한 가치의 만족을 
브랜드의 정체성을 창조적으로 확장하라 
관습을 파괴할 때 새로운 매력이 나온다 
펀은 언제나 니즈보다 강력하다 
브랜드의 매력으로 맥락을 완성하라 

에필로그


출판사 책 소개 링크 : http://miraebookjoa.blog.me/221104737281